ෆ 이슈톡톡
롤드컵 진출 구조 한 번에 이해하기, 입덕 전 필수 가이드, 이제는 나도 안 헷갈린다!
Soar Up
2025. 4. 6. 07:00
반응형
반응형
🏆 롤드컵 진출 구조 한 번에 이해하기
– 입덕 전 필수 가이드, 이제는 나도 안 헷갈린다!
“LCK? 롤드컵? MSI? 이게 다 뭐야?”
“도대체 어느 팀이 어떻게 나가서 세계대회까지 가는 거야?”
“그냥 결승만 보면 되는 거 아냐?”
롤(League of Legends)을 몰라도 괜찮아요.
이번 포스팅은 진짜로 처음 보는 사람도 3분 안에 이해할 수 있게,
LCK → 롤드컵까지의 진출 구조를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!
1. LCK는 한국 ‘프로 리그’예요
- 한국에 있는 리그 이름이 LCK (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)
- 1년에 2번 시즌 열림: 스프링(Spring) / 서머(Summer)
- 총 10개 팀이 리그 참가
- 정규 시즌 → 플레이오프 → 결승으로 구성됨
📌 결승에서 우승하면? → 국제 대회로 자동 진출!
2. 국제 대회는 2개예요
✅ MSI (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)
- 상반기 국제 대회 (5~6월쯤)
- 각 지역 스프링 시즌 우승팀 출전
- LCK 우승팀 = 자동 출전
✅ 롤드컵 (월드 챔피언십)
- 하반기 최대 규모 대회 (10~11월쯤)
- 전 세계 리그 우승/포인트 상위 팀들 출전
- LCK에선 총 4팀이 진출함!
3. 그럼 롤드컵엔 누가 어떻게 가는 거야?
진출 | 방식설명 |
서머 우승팀 (1번 시드) | LCK 서머 시즌 우승팀은 무조건 진출 |
챔피언십 포인트 1위 (2번 시드) | 스프링+서머 성적 점수 합산 1위 |
챔피언십 포인트 2~4위 플레이오프 (3, 4번 시드) | 마지막 선발전 (지역 대표 선발전) 통해 진출 |
📌 쉽게 말해:
- 서머 우승 = 확정 티켓
- 점수 많이 쌓은 팀 = 진출 가능성 높음
- 못해도 선발전에서 역전 가능
👉 입덕 포인트 정리
- 스프링 우승팀 → MSI 진출
- 서머 우승팀 → 롤드컵 1번 시드
- 포인트 높은 팀 → 롤드컵 직행 or 선발전 진출
- 선발전 → 진짜 마지막 기회! 감동적인 드라마 자주 나옴
❤️ 팬들 사이에서 유명한 순간
- T1이 마지막 선발전에서 눈물의 롤드컵 진출했던 해
- KT가 시즌 내내 1등하다가 마지막 한 경기로 탈락한 시즌
- Gen.G가 꾸준히 성적 내며 포인트 1위로 진출했을 때
📌 이 구조 덕분에, 단순한 ‘리그’가 아니라
매 시즌마다 “드라마 같은 전개”가 펼쳐지는 거예요.
✨ 이걸로 완벽 정리
“LCK → MSI → 롤드컵”
“서머 우승 + 포인트 + 선발전”
이 두 가지만 기억하면
당신도 이제 롤 팬들 대화에 끼어들 수 있어요 😎
이제 조금 이해되셨나요?
혹시 궁금한 구조나, 더 알고 싶은 팀이나 대회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!
‘입덕 가이드’는 여러분을 위해 계속됩니다.
반응형